-
7. DO-178 가이드라인 소개 (Section 1.0)잡談/DO-178 기본 2019. 1. 6. 11:37
DO-178에 대해서 구글링을 해 보면 DO-178에 대한 설명은 상대적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DO-178 가이드라인 자체에 대한 소개는 찾기가 힘들다. 물론 DO-178을 이해하는 것이 가이드라인을 이해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가이드라인에 어떤 내용이 설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DO-178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에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절은 개별적인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DO-178 가이드라인이 무엇인지를 이해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사실 이를 필자가 지금까지 알게 된 내용으로 설명할 수도 있지만 가이드라인 내에 관련된 소개를 별도로 정리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DO-178 가이드라인의 소개에서는 아래와 같..
-
6. DO-178 가이드라인잡談/DO-178 기본 2019. 1. 6. 11:26
DO-178 인증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 서두가 상당히 길었던 것 같다. 항공기 자체의 거대한 규모나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생각해 본다면 지금까지의 분량으로도 턱없이 부족한 내용이지만 마냥 배경설명에만 매달릴 수 없으므로 일단 이 정도로 마무리하고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DO-178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그림 11 DO-178C 가이드라인 위의 그림은 DO-178C 버전의 가이드라인 표지이다. 참고로 필자가 구할 수 있는 것은 PDF 파일밖에 없었기 때문에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책의 표지는 아니다. 그리고 위의 파일은 아래 사이트를 통해서 구매할 수 있다. (상단 메뉴의 붉은색 점선으로 표시된 Store에서 구매) 그림 12 RTCA 홈페이지 (https://www.rtca.org/) 홈페이지의 ..
-
5. DO-178 준용의 기준잡談/DO-178 기본 2019. 1. 6. 11:16
DO-178 ‘준용’의 가장 흔한 사례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행하고 있는 DO-178 ‘인증’이라고 할 수 있다. ‘인증’과 ‘준용’이 구분없이 사용되면서 막연하게 DO-178 인증을 받는 것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그것은 모두 ‘인증’이 아니고 ‘준용’이다. DO-178 준용에 대해서 미국과 우리나라 군용항공기에 적용하는 부분을 각각 살펴보면서 다시 한 번 ‘인증’과 ‘준용’의 차이를 확인해 보자. (1) 미국 군용항공기의 DO-178 준용 미국 군용항공기에 대한 준용을 확인하기 위한 관련자료들을 살펴보자. 먼저 아래는 앞서 예시로 언급되었던 지침서 원문 중의 일부이다. 앞 절에서 길게 이야기했던 ‘Compliance’가 나오고 거기에 대응하는 ‘Certification’을 대비해..
-
4. DO-178 인증과 준용잡談/DO-178 기본 2019. 1. 6. 11:11
DO-178 인증에 대해서 실무를 진행하다 보면 DO-178 ‘인증’과 ‘준용’에 대한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이제는 어느 정도 구분해서 사용하게 된 것 같기는 하지만 여전히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는 듯 해서 이번 기회에 다시 한 번 정리를 해 볼까 한다. (1) DO-178 인증의 의미 우선 DO-178 ‘인증’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준용’과의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필자가 예전에 포스팅한 자료에 포함된 그림이다. 당시에도 DO-178 ‘인증’과 ‘준용’의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했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동일한 비행기를 제작하더라도 미국에서 제작하는 것과 우리나라에서 제작하는 것은 지역적인 차이와 함께 FAA의 관여 여부..
-
3. DO-178과 감항인증잡談/DO-178 기본 2019. 1. 6. 10:59
앞에서 DO-178 인증은 항공기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증이라고 말한 바가 있다. 감항인증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 우선 DO-178 인증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자. (1) DO-178에 대한 이해 먼저 확인해 볼 부분은 DO-178 가이드라인이다. DO-178 가이드라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서두의 소개 부분에서 DO-178 인증이 무엇인지를 언급하고 있다.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 해석을 보자. 1.0 소개 1980년대 초에 항공기와 엔진에 사용된 항공기 시스템과 장비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의 빠른 증가는 감항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산업계가 받아들이는 지침에 대한 필요성을 낳게 되었다. DO-178, “Software Considerations in Airborn..
-
2. 감항인증에 대한 이해잡談/DO-178 기본 2019. 1. 6. 10:46
DO-178 인증이 항공기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증이라는 것은 이 글을 관심있게 보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혹시 ‘감항인증’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 용어 정도는 들어보지 않았을까 싶다. 사실 제대로 이해하기에는 내용 자체가 너무나 방대하고 복잡하다. 굳이 업무와 직접 관련되지 않는다면 모른다고 해서 크게 지장은 없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필자는 DO-178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써 감항인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감항인증을 잘 안다고 해서 DO-178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감항인증과 관련된 내용에는 DO-178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감항인증은 DO-178 인증의 근원이라고 할 수..
-
1. DO-178을 시작하며잡談/DO-178 기본 2019. 1. 6. 10:33
그림 1 필자가 DO-178 인증을 위해서 처음으로 본 책 “DO-178 인증이 뭔가요?” 지금도 이 질문을 받으면 어떻게 답변을 해야 할지 망설여 진다. 일단 잠시 심호흡을 하면서 뜸을 들이지만 그 다음 나오는 답변은 결국 거의 비슷하다. “항공기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증입니다.” 사실 위의 질문에 담긴 질문자의 의도는 저렇게 한 줄로 답할 수 있는 그런 가벼운 것이 아닐 것이다. 저 질문 속에는 막연하게 품고 있을 DO-178에 대한 불안감이 들어가 있고 뭔지 모를 엄청난 양의 지식에 대한 궁금증이 들어가 있을 것이다. 또한 질문을 한다는 것은 상대에 대한 어느 정도의 신뢰감이 바탕이 된 것이라고 보면 뭔가 제대로 된 답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도 들어가 있을 것이다.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