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談/DO-178 응용
-
29. DO-178과 System Safety (3)잡談/DO-178 응용 2019. 3. 6. 10:51
이번 절에서부터 본격적으로 ARP4761에서 설명하는 세부 내용들을 확인해 보자. (1) ARP4761의 세부 내용 앞서 아래와 같이 항공기 시스템 개발과 안전성 평가가 함께 연결된 그림을 제시한 바가 있다. ※ 출처) 항공기 인증을 위한 시스템 안전성 평가 / 유승우, 진영권 / 항공우주연구원 여기서 다시 ARP4761의 목차를 보자. 아래의 붉은색으로 표시된 것들이 바로 위의 그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RP4761이 무엇에 대해서 가이드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3. SAFETY ASSESSMENT PROCESS 3.1 Safety Assessment Overview 3.2 Functional Hazard Assessment (FHA) 3.3 Preliminary System Saf..
-
28. DO-178과 System Safety (2)잡談/DO-178 응용 2019. 3. 6. 10:27
(1) System Safety와 ARP4761 ※ 출처) Guidelines for Development of Civil Aircraft and Systems – Introduction to ARP4754A, Esterline 앞서 위의 그림을 통해서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된 것이 소프트웨어 지침인 DO-178이 나온 이후라고 설명한 바가 있다. 그 결과가 ARP4754이고 ARP4761은 ARP4754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ARP4754가 ARP4754A로 업그레이드가 된 것처럼 ARP4761 역시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직은 공식적으로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이다. (2019년 3월 기준) 이제 본격적으로 ARP4761에 대해서 알아보자. ① A..
-
27. DO-178과 System Safety (1)잡談/DO-178 응용 2019. 3. 6. 10:02
※ 출처) https://www.slideshare.net/avinashkonkani/ergonomics-in-medical-device-design 혹시 위와 같은 그림을 본적이 있는가? 처음 본 분이라면 위의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 것인지 한 번 생각해보자. 위의 그림은 필자가 처음 ‘시스템 안전성(System Safety)’이라는 것을 접하면서 본 그림이었다. 결론적으로 위의 그림은 초기의 항공기 개발이 그림에서처럼 실제 비행을 해보고 혹시 추락을 하거나 문제가 확인되면 수정을 한 후에 다시 비행을 했다는, 지금 생각하면 그야말로 무식하기 그지없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이라면 전혀 상상할 수 없는 방법이지만 실제로 ‘Fly-Fix-Fly Methodology’라는 용어로 ..
-
26. DO-178과 COTS의 사용 (3)잡談/DO-178 응용 2019. 2. 14. 10:19
이전 절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다. (1) 대체 방법(Alternate Methods)에 대한 고찰 앞절에서 소개된 COTS 선정을 위한 여러가지 기법들을 사용하더라도 그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시될 수 있는 대체 방법이 몇 가지 있을 수 있는데 그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적용하면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① 누락된 문서화에 대한 부분 일반적으로 COTS 제품에 대해서 제공받을 수 있는 문서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것을 교체하느냐, 다시 작성하느냐 혹은 대체하느냐와 같은 논쟁이 있을 수 있다. 이때 기술적인 판단에 대해서는 조심할 필요가 있다. 즉,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아주 제한적으로, 엄격하게 다루어 져야 하며 그 판단의 근거는 반드시 문서화되어..
-
25. DO-178과 COTS의 사용 (2)잡談/DO-178 응용 2019. 2. 14. 10:16
이전 절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다. 앞에서는 주로 COTS에 대한 DO-178 인증과 관련해서 배경 설명의 성격이 강했다고 한다면 이번 절에서는 COTS의 적용과 인증을 위한 세부적인 내용이 본격적으로 설명된다. (6) COTS 통합 프로세스 여기에서는 COTS 제품을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 진행할 수 있는 주요 프로세스들을 제시하고 있다. - 시스템의 위험 요인(Risks와 Hazards)을 식별하고 그러한 위험 요인과 COTS 컴포넌트와의 관계를 결정 - COTS 제품을 시스템에 맞추기 위한 평가 - 제품에 대한 COTS 판매자의 개발 프로세스를 평가 - COTS 확보 계획, 라이선스, 대여, 향후 지원에 대한 동의 등을 개발 - COTS 제품을 다루기 위한 형상 관리(CM) 계획과 소프트웨어 품질 보..
-
24. DO-178과 COTS의 사용 (1)잡談/DO-178 응용 2019. 2. 14. 10:11
DO-178 인증을 접한 분들은 물론이고 그렇지 않은 분들도 COTS(Commercial-Off-The-Shelf)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COTS 소프트웨어라는 것은 간단하게 말하자면 구매해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예를 들면 운영체제(OS)가 있다. DO-178에서는 이러한 COTS에 대해서 DO-178 가이드라인의 Section 2.5 (Software Considerations in System Life Cycle Processes), 2.5.3 (Commercial-Off-The-Shelf Software), 11.1 (PSAC) 등에서 언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실 DO-178 가이드라인에서 언급하고 있는 COTS에 대한 설명은 상당히 빈약(?)하다. COTS에 ..
-
23. DO-178 인증을 위한 멀티코어 프로세서에 대한 Objective Table (한글) – CAST-32A (4)잡談/DO-178 응용 2019. 2. 14. 09:25
CAST 32-A에 대한 설명에서 맨 처음 제시되었던 영문 테이블을 한글로 그대로 번역하였다. 세부 내용에 대한 해설이 필요한 분들은 이전 절에서 설명한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CAST-32A에서 제시하는 MCP에 대한 목표 (MCP Paper Objectives) ID 내용 Objective 1 - MCP_Planning_1 지원자의 소프트웨어 계획 혹은 다른 전달가능한 문서들이: 1) 제조사로부터의 유일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특정한 MCP 프로세서를 구분 2) 활성화되는 코어의 개수를 구분 3) 사용되는 MCP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 MCP에서 운영될 모든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구분 4) MCP상에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것들 중에 활성화될 동적 특성들을 구분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사용될 지..
-
22. DO-178 인증을 위한 멀티코어 프로세서에 대한 Objective Table (해설) – CAST-32A (3)잡談/DO-178 응용 2019. 2. 13. 17:21
사실 지금까지 앞 절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다음에 제시되는 MCP에 대한 인증 목표(Objective)를 설명하기 위한 배경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부분들의 이해가 없이는 CAST-32A에서 제시하는 인증 목표(Objective)들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상기하면서 우선 CAST-32A에서 제시하는 인증 목표(Objective) 전체를 정리한 표를 보자. CAST-32A에서 제시하는 MCP에 대한 목표 (MCP Paper Objectives) ID 내용 Objective 1 - MCP_Planning_1 The applicant’s software plans or other deliverable documents: 1) Identify the specific MCP 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