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6. DO-178 가이드라인
    잡談/DO-178 기본 2019. 1. 6. 11:26

    DO-178 인증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 서두가 상당히 길었던 것 같다. 항공기 자체의 거대한 규모나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생각해 본다면 지금까지의 분량으로도 턱없이 부족한 내용이지만 마냥 배경설명에만 매달릴 수 없으므로 일단 이 정도로 마무리하고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DO-178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그림 11 DO-178C 가이드라인

     

    위의 그림은 DO-178C 버전의 가이드라인 표지이다. 참고로 필자가 구할 수 있는 것은 PDF 파일밖에 없었기 때문에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책의 표지는 아니다. 그리고 위의 파일은 아래 사이트를 통해서 구매할 수 있다. (상단 메뉴의 붉은색 점선으로 표시된 Store에서 구매)

     

    그림 12 RTCA 홈페이지 (https://www.rtca.org/)

     

    홈페이지의 이름이 보이는가? RTCA라고 표기되어 있다. 바로 이 RTCA라는 곳이 DO-178 가이드라인을 만든 곳이다. 사실 필자는 초기에 DO-178과 관련해서 FAA RTCA가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 많이 헷갈렸었다. FAA에서 인증을 한다고 했으니까 당연히 FAA에서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고 생각했는데 그것이 아니라 RTCA에서 만들었다고 해서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던 것이다. 지금은 아래 그림처럼 이해하고 있다.

     

    그림 13 FAA/RTCA/지침서/업체/DER의 상관관계

     

    위의 그림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RTCA라는 단체에서 DO-178 가이드라인 문서를 발행하고 FAA에서 채택을 하는 구조이다. FAA가 채택한 가이드라인이므로 DER도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다. 그리고 DO-178 인증을 받으려고 하는 업체(지원자)에서는 이렇게 발행되고 채택된 가이드라인을 참고해서 인증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FAA와 지원자, 그리고 DER은 동일한 기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DO-178 가이드라인은 DO-178, DO-178A, DO-178B를 거쳐서 현재는 DO-178C 버전이 발행 및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1)    DO-178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내용

     

    DO-178 가이드라인에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까? 우선 가이드라인의 목차를 직접 확인해 보자.


     

    부록을 포함해서 150페이지가 안 되는 분량이지만 이처럼 많은 내용들이 촘촘히 포함되어 있다. 범위를 크게 잡아서 큰 제목만 추려보자.

     

     

    1.0  INTRODUCTION

    2.0  SYSTEM ASPECTS RELATING TO SOFTWARE DEVELOPMENT

    3.0  SOFTWARE LIFE CYCLE

    4.0  SOFTWARE PLANNING PROCESS

    5.0  SOFTWARE DEVELOPMENT PROCESSES

    6.0  SOFTWARE VERIFICATION PROCESS

    7.0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PROCESS

    8.0  SOFTWARE QUALITY ASSURANCE PROCESS

    9.0  CERTIFICATION LIAISON PROCESS

    10.0         OVERVIEW OF CERTFICATION PROCESS

    11.0         SOFTWARE LIFE CYCLE DATA

    12.0         ADDITIONAL CONSIDERATIONS

    ANNEX A – PROCESS OBJECTIVES AND OUTPUTS BY SOFTWARE LEVEL

    ANNEX B – ACRONYMS AND GLOSSARY OF TERMS

    APPENDIX A – BACKGROUND OF DO-178/ED-12 DOCUMENT

    APPENDIX B – COMMITTEE MEMBERSHIP

     

     

    참고로 가이드라인에서는 위의 항목들을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다. 조금 더 그룹화된 구분을 확인할 수 있다.

     

     

    DO-178 가이드라인은 항공기의 크기, 종류 혹은 소프트웨어의 크기나 복잡도 등에 관계없이 모든 항공기에 탑재되는 모든 소프트웨어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여기에서 왠지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게 된다. 앞서 150페이지 정도의 분량이라고 했는데 과연 그 정도의 분량만을 가지고 이것이 가능할까?

     

    이에 대한 답을 여기에서 바로 결론짓지는 않겠다. 물론 당연히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오고 있는 것이겠지만 지금까지의 배경설명들을 포함해서 앞으로 나올 내용들을 통해서 그것을 직접 확인해 보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음 절부터는 위에서 정리한 가이드라인의 목차를 중심으로 실제 내용을 하나하나 살펴보자

    '잡談 > DO-178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DO-178과 시스템의 관계 (Section 2.0)  (0) 2019.01.06
    7. DO-178 가이드라인 소개 (Section 1.0)  (0) 2019.01.06
    5. DO-178 준용의 기준  (0) 2019.01.06
    4. DO-178 인증과 준용  (0) 2019.01.06
    3. DO-178과 감항인증  (6) 2019.01.06

    댓글

Designed by Tistory.